전체 글77 위즈덤 시즌1 <경제의 지혜> 경제의 지혜 오건영 학원의 일타강사처럼 찰떡같은 비유로 수강생들의 이해를 쑥쑥, 뇌를 탁 건드려 주셨던 오건영 부장님. '경제의 지혜' 강의 시간을 많은 사례와 지식으로 꽉 채워주셨지요. 1강 Fed(연준)의 의도와 투자자의 심리 2022년 연준은 인플레이션이 일시적이라고 언급했다. 시장안정과 더불어 디플레이션이 오는 걸 방지하고자 함이다. 경제는 시장의 심리가 크게 작용하므로 디플레이션이 온다고 즉, 경기 침체를 예상하면 더욱 소비를 안 하게 된다. 이런 심리가 작용하면 경기부양 대책을 내놓아도 경제주체들이 반응하지 않고 소비가 줄어들고 경기 침체가 지속되는 악순환이 발생됨을 아니까 연준은 "이번 인플레이션은 일시적이야"라고 말한 의도를 눈치채자.2강 인간의 심리와 투자 원칙의 중요성 은행 금리가 계속.. 2024. 11. 15. 위즈덤 시즌1 <주식의 지혜> 주식의 지혜강사 박세익1강 주식의 지혜 인트로펀드처럼 나만의 포트폴리오 작성을 해보는 연습부터 해서 나에게 적합한 성공 투자의 원칙과 룰을 완성해 나가는 게 이 강의 목적이다. 언론매체에서 거론되는 대기업 회사이름만 간신히 아는 나에게는 힘든 강의 내용들ㅠ. 2강 자본주의에 대한 이해 주식 투자를 잘 하려면 자본주의, 기업가치, 주식시장, 인간본성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자본주의에 대한 이해로 오스트리아의 경제학자 조지프 슘페터가 말한 자본주의의 역동성에 관한 이론을 살펴보자. 자본주의는 창조적 파괴를 통해 성장하고, 창조적 파괴를 하는 주체는 기업입니다. 창조적 파괴란 기술혁신으로 낡은 것은 파괴하고 새로운 것을 창조하여 변혁을 일으키는 과정을 말한다. 소작농이 영주가 되기 위해서는 이런 걸 잘.. 2024. 11. 14. 위즈덤 시즌1 <부동산의 지혜> 부동산의 지혜 강사 오윤석 1강 변화하는 상황과 나부동산은 가치 투자다. 부동산이 숨겨져 있는 가치를 알아내고, 그 가치가 저평가되어 있다고 판단했을 때 의사결정을 한다. 객관적인 관점을 가지고 부동산을 대한다. 아무한테나 가서 '어이, 우리 친구하자' 그러면 이상한 사람 되기 십상이다. 서로 알아가면서 친하게 되고, 관계 개선도 하고, 내가 너를 사랑하는데 너도 나를 사랑해 줄래... . 말도 건네보는 게 보통 사람들의 관계 맺기다. 이런 인간관계를 맺듯 부동산과도 관계 개선을 계속 시켜보자. 부동산과 친해지면서 우리가 어떻게 살아갈지 고민도 해보고, 현대사회에서 인간의 삶의 태도를 보면서 부동산과 접목시킬 줄도 알아야 한다. 이것은 인문학적 관점에서 나온다. 기본적인 용어과 관련 지식을 습득하고 부동.. 2024. 11. 13. 위즈덤 시즌1 <과학의 지혜> 과학의 지혜강사 장동선장동선 박사님과 직접 만나 공부했던 분들은 어떤 느낌이었을까요? 방대하게 쏟아 나오는 지식과 지혜로움이 모니터를 뚫고 나와 제 앞에 막 쌓이는데 신기한 듯 멍하니 한참 바라봤었습니다. 강의 목차 순서대로 그 강연 시간에 배운 걸 토대로 가장 나에게 해주고 싶은 메모로 정리해 봅니다.1강 과학적 방법론 지혜는 내가 좋은 판단을 내릴 수 있기 위해서 아는 것이고, 과학은 내가 어떻게 구분하고, 분류하고, 분석해서 세상의 일들에 대해, 세상의 사물에 대해 탐구하는 일이다. 과학과 지혜의 공통점은 지식과 앎을 다루는 것이고 공통점은 분류할 수 있는 능력이다. 지혜란 그 상황에서 내가 어떤 선택을 해야 하는 알게 해주는 게 지혜다. 내가 어떤 질문을 하느냐에 따라서 얻는 답이 다르다. .. 2024. 11. 12. 이전 1 2 3 4 5 6 ··· 20 다음